본문 바로가기
경제 이모저모

트럼프 "관세 유연성" 발언에 美증시 마감 반등...SK온 15조 닛산 계약·韓 조선업 수혜 전망

by newsystock 2025. 3. 24.
트럼프 "관세 유연성" 발언에 美증시 마감 반등...
SK온 15조 닛산 계약·韓 조선업 수혜 전망

미국 증시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한 "유연성" 발언으로 하루 동안 큰 변동성을 보인 끝에 상승 마감했습니다. 3월 22일(현지시간) 뉴욕 증시에서 다우지수는 32.03포인트(0.08%) 상승한 41,985.35에 마감했고, 나스닥지수는 92.42포인트(0.52%) 오른 17,784.05, S&P500 지수는 4.67포인트(0.08%) 상승한 5,667.56으로 거래를 마쳤습니다.

한편 국내에서는 3월 초 수출이 반도체와 선박 호조로 증가세를 보이며 무역수지가 흑자를 기록하고, SK온이 닛산과 대규모 계약을 체결하는 등 긍정적 소식이 이어졌습니다. 오늘은 이러한 글로벌 시장 동향과 투자자들이 주목해야 할 핵심 포인트를 살펴보겠습니다.


트럼프 "관세 유연성" 발언에 시장 안도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에 일정한 유연성이 있을 것"이라고 언급하면서 미국 증시는 막판에 상승 마감했습니다. 이는 4월 2일로 예정된 상호관세 발표를 앞두고 시장의 불안감을 다소 완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연준 이사는 "불확실성이 커졌지만, 여전히 금리인하가 가능하다"고 언급했으며, 시카고 연은 총재도 "일회성 관세는 인플레이션에 일시적 영향만 미칠 것"이라고 발언했습니다. 또한 '비둘기' 성향의 ECB 정책위원은 "모든 것이 4월 금리인하를 가리키고 있다"고 밝히며 글로벌 중앙은행들의 완화적 기조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습니다.

 

펀드스트랫의 톰 리는 "미국 증시가 바닥을 쳤으며, '트럼프 풋'과 '연준 풋'으로 반등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여기서 '트럼프 풋'은 트럼프의 정책이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경우 연준이 개입할 것이라는 기대를, '연준 풋'은 시장이 급락할 경우 연준이 통화 정책을 완화할 것이라는 기대를 의미합니다.


국내 수출 증가와 무역수지 흑자

국내에서는 반도체와 선박의 호조로 3월 1~20일 수출이 4.5% 증가하면서 무역수지가 11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 선박이 미국 항구에 입항할 때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어 한국 조선업이 수혜를 받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와 함께 SK온이 일본 닛산에 15조원 규모의 전기차 배터리를 공급하기로 계약했다는 소식도 이차전지 산업의 경쟁력을 입증하는 사례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반면, HLB는 간암 신약의 FDA 승인이 불발되면서 하한가를 기록했고,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3조 6,000억원 규모의 대규모 유상증자 계획 발표로 12% 급락했습니다. 이는 바이오 섹터의 규제 리스크와 유상증자로 인한 주식 희석 우려를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아시아 증시 약세와 원/달러 환율

아시아 증시는 중국 기술주 매도세 속에 약세를 지속했습니다. 중국 상해종합지수는 1.29%, 홍콩 항생지수는 2.19%, 일본 닛케이 지수는 0.2% 하락했습니다.

 

원/달러 환율은 1,465.50원으로 1.00원 하락했으며, 원/엔 환율은 981.22원으로 4.76원 하락했습니다.

주목할 만한 기업 소식

미국 공군이 차세대 전투기 'F47' 사업자로 보잉을 선정할 예정이라는 소식은 방산 산업에 주목할 만한 발전입니다. 파이퍼샌들러는 테슬라에 대해 투자의견을 '비중확대'로 제시하고 목표주가를 450달러로 설정했습니다.

투자 전략 및 시사점

현재 글로벌 증시는 트럼프의 관세 정책과 중앙은행들의 금리 정책 사이에서 균형을 찾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투자자들은 다음과 같은 전략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첫째, 트럼프의 "관세 유연성" 발언은 시장에 긍정적 요인이지만, 4월 2일로 예정된 상호관세 발표까지는 불확실성이 지속될 전망입니다. 따라서 PCE(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와 PMI(구매관리자지수) 등 주요 경제 지표를 주시하며 시장 방향성을 판단할 필요가 있습니다.

둘째, 한국의 무역수지 흑자 기록과 SK온의 대규모 배터리 공급 계약은 국내 주요 산업의 경쟁력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특히 반도체, 조선, 이차전지 등 수출 주력 업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움직임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셋째, 트럼프의 중국 선박 수수료 부과 검토는 한국 조선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전망이지만, 글로벌 무역 갈등 심화 가능성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넷째, HLB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바이오 섹터는 규제 이벤트에 따른 변동성이 크므로, 개별 기업의 파이프라인과 임상 진행 상황을 면밀히 분석한 선별적 접근이 중요합니다.

 

다섯째,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대규모 유상증자 사례는 자금조달 방식에 따른 주식 희석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따라서 기업의 재무구조와 자본 조달 계획을 함께 고려한 투자 접근이 필요합니다.

종합적으로, 트럼프의 관세 정책과 글로벌 중앙은행들의 금리 정책이 상호작용하는 가운데, 반도체, 조선, 이차전지와 같이 구조적 성장이 예상되는 산업에 대한 선별적 투자와 함께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통한 리스크 관리가 중요한 시점입니다.

 


※ 투자 유의사항

 글은 투자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특정 종목 매수를 권유하거나 수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투자는 본인 판단과 책임하에 이루어져야 하며투자 결정으로 인한 수익과 손실은 전적으로 투자자 본인에게 귀속됩니다 정보는 작성일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향후 시장 상황에 따라 예상과 다른 결과가 나타날  있습니다투자  반드시 본인의 투자 성향과 위험 감수 능력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결정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