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 관세 145%" 충격에 뉴욕증시 급락...
나스닥 4.31%↓ 테슬라·엔비디아 폭락
미국과 중국 간 무역갈등이 다시 불붙으면서 글로벌 증시가 요동치고 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에 대한 관세율을 최소 145%로 책정하겠다고 발표하면서 하루 전 상승했던 뉴욕 증시는 급락세로 전환됐습니다. 특히 중국 의존도가 높은 테슬라와 엔비디아 같은 기술주들이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미중 무역전쟁의 새로운 국면, 그리고 이것이 글로벌 증시와 한국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미국 증시, '중국 관세 145%' 충격에 급락
2025년 4월 10일 뉴욕증시는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국 관세율 인상 발표로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다우존스 지수는 1,014.79포인트(2.5%) 하락한 39,593.66에, 나스닥은 737.66포인트(4.31%) 급락한 16,387.31에, S&P 500 지수는 188.85포인트(3.46%) 하락한 5,268.05에 장을 마감했습니다.
백악관은 중국에 대한 관세율을 최소 145%로 재산정하고, 소액소포에 대한 관세도 90%에서 120%로 상향 조정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전날 트럼프 대통령이 "일부 국가에 관세 감면"을 시사하며 시장에 긍정적 신호를 보냈던 것과는 상반된 조치입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을 제외한 국가들에 대해서는 7월 9일까지 관세 부과를 유예하는 행정명령을 수정했으며, "시진핑은 내 친구이고, 협상을 원한다"고 언급하며 외교적 여지를 남겼습니다.
이와 함께 미국 국채 30년물 금리는 7bp 상승하며 매도세가 지속됐고, 국제유가는 다시 하락세를 보이면서 에너지 기업들의 주가도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엑손모빌은 5.55%, 셰브런은 7.57% 하락했습니다.
긍정적인 소식은 미국의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달 대비 예상 밖의 0.1% 하락을 기록하며 5년 만에 최저치를 나타냈다는 점입니다. 이는 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기술주 급락, 테슬라·엔비디아 직격탄
미중 무역갈등 고조로 기술주들이 큰 타격을 받았습니다. 특히 중국 시장 의존도가 높은 테슬라는 7.27% 하락했습니다. 테슬라는 같은 날 로보택시 출시일을 공식 확인했지만, 이 긍정적인 소식도 무역갈등의 악재를 상쇄하지 못했습니다.
반도체 대장주 엔비디아도 5.91% 하락했습니다. 중국에 대한 규제 강화와 중국의 보복관세 가능성이 주가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습니다.
빅테크 기업 애플 역시 '145% 대중 관세' 영향으로 4.24% 하락했으며, 팔란티어는 3.72% 하락했습니다. 최근 팔란티어는 월그린스, 하이네켄 등 대형 민간 기업을 고객 리스트에 추가했지만, 전반적인 시장 하락세를 피하지 못했습니다.
암호화폐 관련주인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8.26% 하락했습니다. 이 회사는 2월 기준 499,096개의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아시아 증시, 중국과 일본 큰 폭 상승
흥미롭게도 아시아 증시는 트럼프의 관세 유예 소식에 일제히 급등했습니다. 일본 닛케이225지수는 9.13%라는 놀라운 상승률을 기록했고, 홍콩 항셍지수는 2.06%, 중국 상해종합지수는 1.16% 상승했습니다.
3월 중국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생산자물가지수(PPI)는 미국과의 무역 전쟁 격화 속에서도 예상보다 하락했습니다. 이는 중국 정부가 경기 부양책을 추진할 여지가 있음을 시사합니다.
한국 증시, 2차전지·자동차주 강세
한국 증시는 미국의 관세 유예 소식에 반등했으며, 특히 2차전지와 자동차 관련주가 강세를 보였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은 더 이상 배를 만들지 않지만 동맹국과 다시 배를 만들어야 한다"고 발언하며 한국과 같은 동맹국과의 협력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또한 AI 데이터센터의 에너지 사용량이 폭증하고 있으며, 2030년에는 현재의 4배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소식도 있었습니다. 이는 관련 에너지 기업들에 장기적인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원-달러 환율은 1.00원 내린 1,453.50원, 원-엔 환율은 17.57원 오른 1,004.74원을 기록했습니다.
상승 종목, 브리나 테크놀로지 & P&G
매출이 57% 급증한 브리나 테크놀로지(BYRN)는 9.05% 상승하며 하락장에서 선전했습니다.
또한 대표적인 배당주인 프록터 앤드 갬블(PG)은 0.76% 상승했고, 시간외 거래에서는 7.31% 추가 상승했습니다. 회사는 분기 배당금을 5% 인상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브로드컴(AVGO)은 100억 달러 규모의 자사주 매입 계획을 발표했지만, 전체 시장 하락의 영향으로 6.94% 하락했습니다.
시장 전망 및 투자 전략
미중 무역갈등의 심화는 글로벌 증시에 단기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백악관이 15개국 이상과 관세협상을 제안했고 일부는 마무리 단계에 있다고 밝힌 점, 그리고 경제자문위원장이 "관세 유예로 무역협상 시간을 벌었으며 경기침체 우려는 없다"고 언급한 점은 긍정적인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미중 무역갈등의 추이와 물가지수, 그리고 주요 기업들의 실적 발표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중국 의존도가 낮은 산업과 방어적 성격의 배당주, 그리고 국내 2차전지와 자동차 관련주에 관심을 가질 만합니다.
이 포스트는 데이터 기반 퀀트 종목 분석 서비스, 뉴지랭크와 함께 합니다.
뉴지랭크
데이터 기반의 퀀트투자, 뉴지랭크로 쉽고 빠르게 시작해보세요.
m.newsystock.com
미국주식 퀀트 서비스 뉴지랭크US
미국주식 7,000여개에 대한 퀀트분석 및 종목추천, 나만의 로보어드바이저 만들기까지
us.newsystock.com
※ 투자 유의사항
본 글은 투자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특정 종목 매수를 권유하거나 수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투자는 본인 판단과 책임하에 이루어져야 하며, 투자 결정으로 인한 수익과 손실은 전적으로 투자자 본인에게 귀속됩니다. 본 정보는 작성일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향후 시장 상황에 따라 예상과 다른 결과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투자 전 반드시 본인의 투자 성향과 위험 감수 능력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경제 이모저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 관세폭탄에도 글로벌 증시 '롤러코스터' 반등... JP모건 4%↑, 뉴몬트골드 8% 급등 (0) | 2025.04.14 |
---|---|
트럼프 관세 불확실성 속 엔비디아 글로벌 반도체 매출 1위 등극... 코스피 하락, 코스닥 2% 강세 (0) | 2025.04.11 |
트럼프 관세 우려 완화에 코스피·코스닥 '역대급 초강세'...매수 사이드카까지 발동 (0) | 2025.04.10 |
역대급 랠리! 트럼프 상호관세 90일 유예에 나스닥 12% 폭등... 테슬라 23%↑, 중국 맞대응 선언 (0) | 2025.04.10 |
미중 무역갈등 '비상경보'...미국 상호관세 전면 발효에 글로벌 증시 출렁 (0) | 2025.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