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이모저모

미중 관세 합의에 나스닥 전고점 돌파, 코인 관련주 강세 이어가는 증시 핫이슈

by newsystock 2025. 5. 14.
미중 관세 합의에 나스닥 전고점 돌파,
코인 관련주 강세 이어가는 증시 핫이슈

 

오랜 기간 이어져 온 미중 무역분쟁이 드디어 해결의 실마리를 보이고 있습니다. 경기 부진이 이어지는 상황에서도 나스닥이 전고점을 돌파하며 시장의 기대감을 높이고 있는데요. 특히 크립토 관련 기업들의 약진이 두드러지는 가운데, 오늘의 시장 상황을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미국 증시 주요 동향

미국과 중국 간의 관세 문제가 해결 국면에 접어들면서 관련 기업들의 주가가 크게 상승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영국 자동차 관세 인하의 조건으로 "철강과 제약 공급망에서 중국을 배제할 것"이라고 언급했는데, 이는 향후 미국의 대중국 무역 정책의 방향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발언입니다.

3대 지수 주요 종목 동향

다우존스 지수에서는 캐터필러(CAT)가 96점을 기록하며 2.92% 상승했습니다. 미중 관세 합의가 건설 장비 제조업체인 캐터필러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됩니다. 캐터필러는 글로벌 공급망을 갖춘 기업으로, 관세 부담 완화는 직접적인 수익성 개선으로 이어질 전망입니다.

 

S&P500에서는 NRG 에너지(NRG)가 100점을 기록하며 4.05% 상승했습니다. 1분기 호실적과 더불어 120억 달러 규모의 전력 발전소 인수 소식이 주가 상승의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에너지 섹터의 강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NRG 에너지의 공격적인 사업 확장은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나스닥100에서는 마이크론 테크놀로지(MU)가 100점을 기록하며 5.03% 상승했습니다. 미중 관세 합의의 수혜를 가장 크게 받은 기업 중 하나로, 반도체 산업의 회복세를 주도하고 있습니다. 마이크론은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어, 미중 무역 관계 개선은 기업의 성장 전망을 밝게 하고 있습니다. 

 

크립토 관련 기업들의 약진

크립토 산업은 최근 제도권 진입이 가속화되면서 관련 기업들의 성장이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코인베이스가 S&P500지수에 편입되었으며, 로빈후드는 캐나다 최대 크립토 플랫폼인 원더파이를 인수하는 등 업계의 확장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이토로가 5월 14일 상장을 앞두고 있어, 크립토 관련 주식 시장의 열기는 더욱 뜨거워질 전망입니다.

 

한국 증시 마감 현황

종합 지수 동향

코스피는 2,640.57포인트로 1.23% 상승하며 마감했고, 코스닥은 739.05포인트로 0.98% 상승했습니다. 미중 관세 완화 기대감과 미국-사우디아라비아 간의 대규모 경제 협력 소식이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기술주 위주로 강세를 보였습니다.

정책 및 산업 동향

미국 공화당이 전기차 보조금 축소를 추진하고 있지만, 업계에서는 "예상했던 바로 새로운 악재는 아니다"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전기차 산업이 이미 정책 변화에 대비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미 상무부는 중국산 태양광 관세를 유지하기로 결정했고, 국내에서는 이재명 후보의 '햇빛 연금' 정책이 주목받으면서 태양광 관련 주식들이 강세를 보였습니다. 정책 환경 변화에 따른 산업 트렌드 변화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국내 특징 종목 분석

한진칼의 상한가 행진

한진칼(180,600원)은 29.94% 상승하며 상한가를 기록했습니다. 호반건설의 지분 추가 매입 소식이 주가 급등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경영권 분쟁 가능성이 시장에 새로운 변수로 작용하고 있어, 향후 전개 상황에 투자자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엔씨소프트 실적 발표

엔씨소프트(158,500원)는 5.39% 상승했습니다. 1분기 영업이익이 52억원을 기록하며 전분기 대비 흑자전환에 성공했지만, 전년 대비 79.7% 감소한 수치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자자들은 향후 성장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파마리서치와 유진로봇의 강세

파마리서치(423,500원)는 6.41% 상승했습니다. '리쥬란' 매출이 본격화되면서 증권사들이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한 것이 주가 상승의 배경입니다. 바이오 헬스케어 산업의 성장세를 대표하는 종목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유진로봇(16,260원)은 29.98% 상승했습니다. '이재명 테마주'로 분류되면서 연일 강세를 보이고 있는데, 정치적 이슈와 연계된 투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모습입니다. 다만, 테마주 투자의 변동성에 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시장 전망 및 투자 포인트

미중 무역 분쟁 완화와 크립토 산업의 제도권 진입 가속화는 글로벌 증시의 주요 모멘텀으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특히 나스닥이 전고점을 돌파한 것은 기술 섹터의 강세가 지속될 것이라는 시장의 기대를 반영합니다.

 

국내 시장에서는 미국과 사우디아라비아의 경제 협력 소식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정책 환경 변화에 따른 산업별 투자 기회를 면밀히 관찰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태양광, 바이오, 로봇 등의 산업이 주목받고 있어, 관련 종목들의 움직임을 지속해서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증권주의 실적 호조와 한진칼의 경영권 이슈 등 기업별 이벤트에 따른 투자 전략 수립도 필요한 시점입니다. 시장의 변동성이 높아질 수 있는 만큼, 분산 투자와 리스크 관리에 더욱 신경 써야 할 것입니다.

 

 

이 포스트는 데이터 기반 퀀트 종목 분석 서비스, 뉴지랭크와 함께 합니다.

 

 

뉴지랭크

데이터 기반의 퀀트투자, 뉴지랭크로 쉽고 빠르게 시작해보세요.

m.newsystock.com

 

 

미국주식 퀀트 서비스 뉴지랭크US

미국주식 7,000여개에 대한 퀀트분석 및 종목추천, 나만의 로보어드바이저 만들기까지

us.newsystock.com

 

 


※ 투자 유의사항

 글은 투자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특정 종목 매수를 권유하거나 수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투자는 본인 판단과 책임하에 이루어져야 하며투자 결정으로 인한 수익과 손실은 전적으로 투자자 본인에게 귀속됩니다 정보는 작성일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향후 시장 상황에 따라 예상과 다른 결과가 나타날  있습니다투자  반드시 본인의 투자 성향과 위험 감수 능력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결정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