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이모저모

코스피 1.73% 급등, 반도체 강세에 2,610선 회복...테슬라 이익률 상승·엔비디아 부품社 급등에 주목할 점은?

by newsystock 2025. 3. 17.

국내 증시가 반도체 업종의 강세에 힘입어 크게 반등했습니다. 3월 17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1.73% 상승한 2,610.69에 마감했으며, 코스닥 지수도 1.26% 오른 743.51로 거래를 마쳤습니다. 글로벌 시장의 긍정적 흐름과 함께 반도체 수요 회복이 예상보다 빠를 것이라는 기대감이 시장을 견인했습니다. 오늘은 이러한 시장 상황과 투자자들이 주목해야 할 주요 포인트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반도체 수요 회복 기대감에 관련주 강세

반도체 수요가 예상보다 빠르게 회복될 것이라는 기대감으로 반도체 관련주가 일제히 강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디엔에프, 테크윙,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3D NAND 관련주들이 크게 상승했습니다. 테크윙은 삼성전자 HBM(고대역폭 메모리)용 '큐브 프로버' 추가 수주 소식과 함께 글로벌 반도체 업체들과의 퀄리피케이션 테스트 진행 소식에 8.01% 상승한 38,450원에 마감했습니다.

특히 눈에 띄는 것은 'AI 공룡' 엔비디아에 계측 케이블을 공급하는 센서뷰가 29.94% 폭등한 1,697원에 마감한 점입니다. 고난도 데이터센터 확대에 따른 수혜가 기대된다는 분석이 주가 상승의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이번 주 마이크론의 실적 발표를 앞두고 있어, 글로벌 메모리 시장의 수급 상황과 가격 동향에 대한 가이던스가 향후 반도체 업종의 흐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방산·항공 관련주 강세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캐나다 시장을 정조준하며 "K9 제안을 검토 중"이라는 소식에 6.81% 상승한 753,000원에 마감했습니다. 한국항공우주도 해외 첫 수출기 수명연장 사업 계약을 체결하며 "항공기 애프터 마켓을 정조준하겠다"는 전략을 밝혀 10.85% 급등한 95,000원을 기록했습니다.

방산사업 확장과 포탄 수출에 주력하고 있는 한일단조도 7.08% 상승한 2,495원에 마감해 방산 및 항공 관련주들의 강세가 두드러졌습니다.

신규 상장주 및 액티비스트 활동 주목

코스닥에 신규 상장한 드라이룸 시스템 전문기업 씨케이솔루션이 25.07% 급등한 18,760원에 마감했으며, 주력 원료의약품이 미국 FDA 승인에 청신호를 받은 애니젠도 13.73% 상승한 11,600원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미국 행동주의 펀드인 달튼이 콜마홀딩스에 '경영권 참여'를 선언하면서 해당 주식이 29.97% 폭등한 9,280원에 마감한 점입니다. 기업 지배구조 개선과 주주가치 제고에 대한 기대감이 주가에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글로벌 시장 이슈와 전망

이번 주 18~19일로 예정된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앞두고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특히 파월 의장의 기자회견에 촉각을 세우고 있으며, FOMC 이틀 전인 3월 17일에는 2월 소매판매 지표가 발표될 예정입니다. 1월에 급감했던 소매판매가 2월에는 증가세로 돌아섰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의 18일 기조연설과 19일 기자회견도 AI 관련 주식들의 향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됩니다.

테슬라는 올해 1분기 예상 순이익률이 8.1%로 전망되면서 작년 1분기(5.3%)보다 크게 개선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오스본 효과(세금 특혜 감소 전 선구매 효과)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되며, 2분기 이후에도 빠르게 개선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투자 전략 및 시사점

국내 증시는 반도체와 방산·항공 관련주의 강세가 두드러지는 가운데, 전기차 관련주도 긍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현대차의 유럽 전기차 생산 확대 수혜가 기대되는 모티브링크가 7.31% 상승한 12,030원에 마감했습니다.

미국의 전력망 확대 정책으로 인해 현지 생산이 부각되고 있는 HD현대일렉트릭도 6.06% 상승한 359,000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번 주 FOMC 회의와 마이크론의 실적 발표, 젠슨 황 CEO의 발언 등이 시장의 방향성을 결정할 주요 변수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특히 반도체 업종의 수요 회복 속도와 가격 동향에 대한 가이던스가 중요한 관심사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테슬라의 이익률 개선과 함께 엔비디아의 데이터센터 확장 속도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AI 관련 인프라와 하드웨어 공급망에 속한 기업들의 수혜 가능성에 주목하며, 그러한 기업들의 펀더멘털과 밸류에이션을 면밀히 분석할 필요가 있습니다.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과 금리 정책 변화, 지정학적 리스크 등 변동성 요인이 상존하고 있으므로, 투자 포트폴리오의 다각화와 함께 리스크 관리에도 유의해야 합니다. 특히 최근 급등한 주식들의 경우 단기 조정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으므로 단계적인 매수 전략이 유효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 투자 유의사항

 글은 투자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특정 종목 매수를 권유하거나 수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투자는 본인 판단과 책임하에 이루어져야 하며투자 결정으로 인한 수익과 손실은 전적으로 투자자 본인에게 귀속됩니다 정보는 작성일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향후 시장 상황에 따라 예상과 다른 결과가 나타날  있습니다투자  반드시 본인의 투자 성향과 위험 감수 능력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결정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