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이모저모

코스피 약세에도 '현대차' 주가 3.29% 이상 상승... 트럼프 "美생산 현대차 관세 면제" 발언 영향

by newsystock 2025. 3. 25.
코스피 약세에도 '현대차' 주가 3%↑
...트럼프 "美생산 현대차 관세 면제" 발언 영향

 

코스피가 외국인 매도세에 주춤하는 가운데에도 현대차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면제 발언에 힘입어 상승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에서 생산한 현대차에는 관세가 없다"고 밝히면서 현대차의 미국 투자 계획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오늘의 국내외 증시 동향과 주요 종목들의 움직임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코스피, 외국인 매도세에 하락... 글로벌 투자은행은 "증시 랠리 곧 시작"

2025년 3월 25일 국내 증시는 외국인 투자자들의 매도세에 약세로 마감했습니다. 코스피는 전일 대비 0.62% 하락한 2,615.81을 기록했고, 코스닥 지수는 1.24% 하락한 711.26으로 장을 마쳤습니다.

 

그러나 월가의 주요 투자은행들은 "주식 매도세의 최악 국면은 지났다"며 "조만간 증시 랠리가 시작될 것"이라는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습니다. 골드만삭스도 "미국 증시는 역발상 매수 신호를 보이고 있으며, 향후 3개월간 반등할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았습니다.

 

우리 정부도 미국과의 통상 이슈에 적극 대응하고 있습니다. 한국 대통령 권한대행은 '경제안보전략 TF'를 직접 주재하며 대미 통상 관계를 챙기고 있습니다.

현대차, 미국 31조 투자 소식에 3.29% 상승... 관련주도 급등

현대차는 미국에 31조원 규모의 투자 계획을 발표하면서 이날 3.29% 상승한 220,000원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에서 생산한 현대차에는 관세가 없을 것"이라고 밝혀 현대차의 미국 투자 전략이 관세 리스크를 피하는 데 효과적이라는 점을 확인시켜 주었습니다.

 

현대차의 미국 투자 소식은 관련 종목들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현대공업은 무려 26.04% 급등한 7,600원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현대공업은 현대차의 미국 대규모 투자 수혜가 기대되는 가운데, 135억원 규모의 미국 공장 매입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HD현대일렉트릭도 미국 전력망 확대 사업에 현지 생산이 부각되면서 3.58% 상승한 347,000원에 마감했습니다. 특히 미국 대형 변압기의 70%가량이 설치 수명 25년을 초과해 교체 시기에 진입했다는 소식은 HD현대일렉트릭의 성장 가능성을 더욱 높이고 있습니다.

네이처셀, 美 FDA 혁신치료제 지정에 30% 급등

네이처셀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혁신치료제 지정을 받으면서 이날 주가가 29.95% 급등한 28,850원에 마감했습니다.

 

바이오 분야에서는 에스씨엠생명과학도 80억 원 규모의 유상증자 납입을 완료하면서 "유동성을 확보하고 매출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혀 21.14% 상승했습니다.

 

아이엠비디엑스는 암 수술 후 미세잔존암을 탐지하는 제품을 5월부터 주요 종합병원에 공급한다는 소식에 16.91% 상승했습니다.

미국 증시, 트럼프 관세 정책에 촉각... 테슬라 주가 급등

미국 증시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가까운 미래에 자동차, 의약품, 알루미늄에 대한 관세를 발표할 것"이라고 밝히면서 시장이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테슬라는 9주 연속 하락 후 전일 11.93% 급등하며 대선 이후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습니다. 테슬라의 로보택시와 FSD(완전 자율주행), 그리고 모델Q 출시에 대한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3대 지수 상위 종목으로는 다우존스에서 보잉이 미 공군의 차세대 전투기 사업자로 선정되며 1.57% 상승했고, S&P500에서는 모건 스탠리가 규제 완화 수혜 기대감에 3.44% 상승했습니다. 나스닥100에서는 메르카도리브레가 제퍼리스의 목표가 상향 조정(2,450달러)과 매수의견 유지에 1.86% 상승했습니다.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생성형 AI를 적극 활용하면서 인력 필요성이 줄어들고 있다는 평가를 받으며 2.65% 상승했습니다.

 

이처럼 글로벌 증시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과 각국 기업들의 대응 전략에 따라 움직이고 있습니다. 특히 현대차의 미국 투자 전략은 한국 기업들에게 관세 리스크 대응의 좋은 사례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향후 글로벌 증시는 관세 정책의 구체화와 기업들의 실적 발표에 따라 변동성을 보일 전망입니다.

 


※ 투자 유의사항

 글은 투자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특정 종목 매수를 권유하거나 수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투자는 본인 판단과 책임하에 이루어져야 하며투자 결정으로 인한 수익과 손실은 전적으로 투자자 본인에게 귀속됩니다 정보는 작성일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향후 시장 상황에 따라 예상과 다른 결과가 나타날  있습니다투자  반드시 본인의 투자 성향과 위험 감수 능력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결정하시기 바랍니다.